(Briefing) | ||
문제 | 단 하나의 맥락 | 입출력과 되어야 하는 그림 |
- 이차원 배열 미로 - 1, 0 : 이동가능 / 불가능한 칸 -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- 이동한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를 포함한다 // (1, 1)에서 (4, 6)으로 이동하려면 총 15칸을 지나야 한다 - N X M 크기의 미로가 주어질 때 (1, 1) > (N, M)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칸 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|
- BFS를 사용하여 최초로 도달했을 때 깊이를 출력하면 문제 해결 가능 - DFS보다 BFS : 해당 깊이에서 갈 수 있는 노드 탐색을 마친 후 다음 깊이로 넘어가기 떄문 - 상하좌우 |
I // 미로의 크기 (N, M) a1~aM(1 or 0) ~ 4N1~NM(1 or 0) O // 지나야 하는 칸의 최솟값 출력 |
(흐름) | ||
입력 케이블 | 전처리와 시행 | 출력 케이블 |
(모듈과 사고 경향)
- 중요한 것은, 깊이를 추출해내는 것임
// 2차원 준비와 Substring
A = new int[N][M];
visited = new boolean[N][M]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String line = st.nextToken();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A[i][j] = Integer.parseInt(line.substring(j, j+1));
}
}
// External Module
public static void BFS(int i, int j) {
Queue<int[]> queue = new LinkedList<>();
queue.offer(new int[] {i, j});
visited[i][j] = true;
while (!queue.isEmpty()) {
int now[] = queue.poll();
for (int k = 0; k < 4; k++) {
int x = now[0] + dx[k];
int y = now[1] + dy[k];
if (x>=0 && y >= 0 && x < N && y < M) {
if (A[x][y] != 0 && !visited[x][y]) {
visited[x][y] = true;
A[x][y] = A[now[0]][now[1]] + 1;
queue.add(new int[] {x, y});
}
}
}
}
}
(주의 / 실수 / 헷갈림 / 절차적 부분 / 의문)
- 배열의 인자가 한줄에 공백으로 주어진다면, 공백으로 구분되는 StringTokenizer 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지만, 붙어서 주어지기 때문에 라인을 만들고 substring을 사용한다
- 2개의 인자를 한번에 넣는 공간에 하나의 인자가 활성화가 안될 경우(cannot resolve symbol...). 세미콜론이 아닌, 콜론이 들어갔을 확률이 높다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import java.util.Queue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// Preprocessing
static int[] dx = {0, 1, 0, -1};
static int[] dy = {1, 0, -1, 0};
static boolean[][] visited;
static int[][] A;
static int N, M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// Input supply cable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// Preprocessing
A = new int[N][M];
visited = new boolean[N][M]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String line = st.nextToken();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A[i][j] = Integer.parseInt(line.substring(j, j+1));
}
}
// Operating BFS
BFS(0, 0);
// Output Supply Cable
System.out.println(A[N-1][M-1]);
}
// External Module
public static void BFS(int i, int j) {
Queue<int[]> queue = new LinkedList<>();
queue.offer(new int[] {i, j});
visited[i][j] = true;
while (!queue.isEmpty()) {
int now[] = queue.poll();
for (int k = 0; k < 4; k++) {
int x = now[0] + dx[k];
int y = now[1] + dy[k];
if (x>=0 && y >= 0 && x < N && y < M) {
if (A[x][y] != 0 && !visited[x][y]) {
visited[x][y] = true;
A[x][y] = A[now[0]][now[1]] + 1;
queue.add(new int[] {x, y});
}
}
}
}
}
}
'Hard deck > 리포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6 : 회의실 배정하기 (2) | 2022.07.29 |
---|---|
031 : 배열에서 K번째 수 찾기 (0) | 2022.07.04 |
024 : 신기한 소수 찾기 (0) | 2022.07.01 |
022 : 기수 정렬 (0) | 2022.07.01 |
016 : bubble sort program (0) | 2022.06.29 |